서울시 감사에서 부실시공과 부실 감독으로 67건이나 지적사항이 나왔던 '성산대교 성능개선공사'. <br /> <br />취재진이 감사보고서를 통해 공사 과정을 살펴봤더니, 그야말로 금이 갈 만한 상황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성산대교 보수공사에 활용된 건 '프리캐스트 콘크리트' 공법입니다. <br /> <br />공사 기간을 아끼기 위해 현장에서 바로 콘크리트를 붓는 대신 공장에서 미리 만든 콘크리트판을 가져와 까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제작을 맡은 업체는 성산대교 현장에서 242㎞나 떨어진 전북 김제와 정읍에서 이 판을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시공사 측은 이때 적재함 길이보다 긴 바닥 판을 1∼3m 튀어나온 상태로 실어오면서도 아무런 보호조치를 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바닥 판이 성산대교에 도착해서 설치할 때도 이미 깔아둔 바닥 판이 손상되지 않게끔 조금씩 날라서 공사 지점까지 옮겨야 하는데, <br /> <br />규정 무게보다 27톤이나 초과한 과적 트레일러로 계속해서 공사현장을 오가면서 바닥 판에는 무리가 갈 수밖에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밀 측량 없이 완충재를 설치하거나 바닥 판 1개에 5개씩 설치하는 진동방지장치를 아예 안 끼우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서울시가 승인한 설계나 계획이 무시되고 마구잡이로 공사가 이뤄진 데는 이유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감독이 부실했던 겁니다. <br /> <br />바닥 판 품질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감리와 시공사 점검이 철저히 이뤄져야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성산대교 북단 155일, 남단 42일에 이르는 바닥 판 제작 기간 가운데 실제 점검이 이뤄진 건 각각 3일 뿐. <br /> <br />대신 서울시에는 매일 참여했다고 허위 보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심지어 남단 공사에서는 책임질 현장대리인조차 아예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시공사가 서울시에 대리인으로 승인받고 보고한 사람은 현장대리인 선임 사실조차 전달받지 못했다고 감사위원회에 진술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명기 /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 : 결국은 현장 대리인이 없었다든지 또 이제 감리가 상주하지 않고 특정일만 상주하면서 감리했다는 것은 결국엔 부실시공을 할 수 있는 그런 여건을 만들어줬다.] <br /> <br />결국, 성산대교에 생긴 균열은 품질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관리 감독이 사실상 없는 상태의 마구잡이식 공사가 만들어낸 결과물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준엽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11717031896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